개인정보위 사칭 사기 수법
1. 개인정보 유출 피해 보상을 빌미로 접근
사기꾼들은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으로 피해를 본 사람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한다"는 명목으로 피해자에게 접근하고 전화, 문자, 이메일 등을 통해 개인정보위에서 공식적으로 진행하는 보상 절차라고 속입니다.
2. 위조된 공문을 제공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행위 조사통지서', '개인정보 유출 피해 보상금 지급 안내' 등의 제목을 적어 공문을 열람하게 유도하고, 가짜 공문에 개인정보위의 로고와 도장을 포함하여 교묘하게 눈속임을 합니다.
3. 개인정보 및 현금 요구
공문에는 "보상금을 지급하기 위해 신분증 사본, 계좌번호, 주소 등의 정보를 제출해야 한다"고 적혀 있고 심지어 가상화폐로 보상금을 지급하겠다며 코인 거래소 계정 정보 및 추가 수수료 송금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개인정보위는 절대 이런 절차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위는 피해 보상 업무를 외부 업체에 위탁하지 않으며, 가상화폐로 보상을 지급하지도 않으니 이러한 요구를 받았다면 즉시 거부하고 신고하세요!!
개인정보위 사칭 사기 예방법
1. 출처가 불분명한 연락은 무조건 의심하기
- 개인정보위에서 직접 연락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 "보상금 지급", "조사 대상 선정" 등의 연락을 받았다면 즉시 의심하기
2. 공문의 진위 여부 확인하기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공식 홈페이지(https://www.pipc.go.kr)에서 공문이 실제 발행된 것인지 확인하기
- 공식 번호(02-2100-3151or 02-2100-3156)에 직접 문의하기
3. 개인정보 및 금융 정보 절대 제공 금지
-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신분증 사본 등을 요구하는 경우 절대 제공하지 않기
- 특히, 가상화폐를 통한 지급을 이야기하면 무조건 사기
4. 피해 발생 시 즉시 신고
- 경찰청(☎112) 또는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118)에 즉시 신고하기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도 관련 신고를 접수 가능
5. 후스콜 "내정보 지킴이"로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하기
- 전화번호 혹은 이메일을 후스콜 "내정보 지킴이"에 입력하면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가능
- 수시로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하고 내 정보 지키기
개인정보위 사칭 가짜 공문 구별법
가짜 공문은 겉으로는 진짜처럼 보이지만, 몇 가지 특징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가짜 공문의 특징
- 보상금을 지급한다며 개인정보 요구
- 가상화폐를 이용한 보상 절차 명시
- 긴급 조치가 필요하다며 심리적 압박 가함
- 공식적인 담당자 연락처가 없음 또는 가짜 번호 사용
진짜 공문의 특징
- 공식 홈페이지 및 기관 연락처가 명확하게 기재됨
- 가상화폐 지급 관련 내용이 없음
- 보상금 지급을 위해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음
공문을 받았다면 무조건 개인정보위 공식 연락처(02-2100-3151 또는 02-2100-3156)로 확인하세요.
공공기관 사칭 사기가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으니 사기 방지 앱 후스콜로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고 사칭 사기관련을 가족, 친구 주위 사람에게 알려 사기 피해를 예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