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고객센터 사칭, 피싱 사기 수법
1. '카카오톡 계정에 문제가 있다'는 문자 발송
카카오 고객센터로 사칭하여, "카카오 계정이 규정 위반으로 인증이 취소됐다" 혹은 "카카오톡 계정에서 비정상적인 활동이 발견됐다"며 문자를 보냅니다.
2. 계정 복구를 위해 고객센터에 문의하라며 URL 클릭 유도
계정 복구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고객센터로 이어지는 URL이라며 클릭을 유도합니다. 하지만 해당 URL은 악성 URL 링크로 클릭하면 가짜 카카오 고객센터 페이지로 이동하게됩니다.
3. QR코드 인증 요구하며 카카오톡 앱으로 QR 스캔 유도
가짜 고객센터 사이트에서 "계정 제한 해제를 위해 QR코드 인증이 필요하다"며 카카오톡 앱으로 QR코드를 스캔하도록 유도합니다.
4. 사기꾼 PC로 연동, 개인정보 탈취
QR코드를 스캔하면, 사실상 사기꾼 PC와 카카오 계정이 연동되어 결국 사기꾼에게 카카오톡 ID와 비밀번호 및 개인정보를 탈취당하게 됩니다.
카카오톡 피싱 사기, 피해 예방법
1. 카카오톡 2단계 인증 설정
2. URL 링크 포함된 문자 의심하기
3. QR코드 스캔 전, 출처 확인하기
4. 카카오 공식 홈페이지에서 고객센터 직접 접속하기
5. 후스콜 "웹 체커", "자동 웹 체커"로 안전하게 인터넷 사용하기
♥웹 체커 : 접속이 가능한 사이트인지 안전 여부를 알려줍니다.
♥자동 웹 체커 : 악성 URL 링크 접속 시 즉시 경고하여 피해를 방지합니다.
피싱 사이트는 카카오 공식 도메인(kakao.com)과는 전혀 다른 도메인을 사용하고 올해 새로 만들어진 사이트입니다. 사이트 내에는 실제 카카오톡 고객센터에 없는 채팅창이 표시되는 등, 사용자가 쉽게 속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온라인상에서 개인정보 및 보안 인증을 요구한다면 반드시!! 공식 사이트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카카오톡은 해외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만큼 국내 뿐아니라 해외 피해도 심각한 수준이며 주의를 요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사용자라면 누구나 쉽게 당할 수 있는 피싱 수법이니 사전에 예방하고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QR코드 인증을 요구한다면, 꼭 의심하고, 카카오 고객센터에 직접 문의하세요!
그리고 후스콜 "웹 체커", "자동 웹 체커"로 스미싱 사기 피하는것도 잊지 마세요~~